Fred Miranda published his review of the new Thypoch Simera 75mm f/1.4 ASPH lens for Leica M-mount – currently in stock at:

Here is the final review conclusion:

The Simera 75mm f/1.4 ASPH. offers a well-balanced mix of smooth rendering and solid performance. At wider apertures, it provides good resolution but doesn’t capture the finest details, showing noticeable improvement when stopped down. By f/2.8 in the center, f/4 in the mid-zone, and f/5.6 in the corners, the lens reaches optimal resolution and contrast. Compared to the Voigtlander 75mm f/1.5 Nokton, the Simera performs slightly better in the mid-field, while the Voigtlander has an edge in the extreme corners. At the center, both lenses perform similarly. Also, the Simera renders a slightly wider field of view and warmer tones.

Chromatic aberration control is one of the Simera’s strongest points, outperforming the Voigtlander in this regard. The lens also produces minimal distortion, with only a slight pincushion effect. Its bokeh is smooth and natural, with round specular highlights even at small apertures, due to its 16-blade aperture design. Unlike the 50mm f/1.4 ASPH. counterpart, which produces well-defined sunstars starting at f/4, the 75mm requires much smaller apertures to achieve similar clarity in its sunstar rays. Despite minor focus shift, stopping down and refocusing ensure optimal sharpness. The Simera maintains excellent optical performance even when adapted to a Sony A7R II, showing no significant degradation despite the thicker sensor stack.

The Simera 75mm f/1.4 ASPH. is a strong option among fast 75mm lenses, offering a refined, modern rendering that suits professional portrait and landscape photography. However, some may find its look too smooth and abstract, lacking a distinctive character. Its flat field curvature ensures consistent sharpness across the frame, making it a solid choice for architectural work. While the Voigtlander 75mm f/1.5 Nokton performs similarly in rendering and resolution and remains a strong alternative, particularly for its better corner performance at wide apertures, the Simera stands out for its mid-field sharpness and superior chromatic aberration control, making it a compelling choice for those seeking a well-rounded 75mm lens.


Pros:

  • Compact and lightweight for a fast 75mm lens.
  • Floating design maintains high resolution and contrast even at MFD (0.60m).
  • Low distortion.
  • Flat field curvature ensures even sharpness across the frame
  • Solid build with tight tolerances; my copy was well-centered and calibrated with the rangefinder.
  • Aperture mechanism produces rounded specular highlights when stopped down.
  • Smooth and modern rendering with seamless focus transitions.
  • Unique “mechanical dots” depth of field scale replaces the classic scale.
  • Great chromatic aberration control (both lateral and axial).

Cons:

  • Inconsistent spacing between aperture markings.
  • Varying stop increments, transitioning from 1/3 to 1/2 to 1 full stop on small apertures.
  • Short focus throw requires precise focusing.
  • Prone to veiling flare when shooting against the light, which can create a unique effect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 Sunstars become well-defined only at f/8 and smaller apertures.
  • Corners aren’t as sharp at wide apertures.


Read the full review here.

Previous Fred Miranda reviews can be found here.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Thypoch Simera 75mm f/1.4 ASPH lens for Leica M-mount can be found here:

장점

빠르고 가벼운 75mm 렌즈를 위한 컴팩트하고 가벼운 제품입니다.

플로팅 디자인은 MFD(0.60m)에서도 높은 해상도와 대비를 유지합니다.

낮은 왜곡.

평평한 필드 곡률은 프레임 전체에 걸쳐 균일한 선명도를 보장합니다

견고한 체격에 엄격한 내약성을 자랑합니다. 제 복사본은 중심이 잘 맞춰져 있었고 거리 측정기로 보정되었습니다.

조리개 메커니즘은 아래로 멈추면 둥근 사각형 하이라이트를 생성합니다.

매끄럽고 현대적인 렌더링과 매끄러운 초점 전환.

필드 스케일의 독특한 “기계적 점” 깊이가 고전적인 스케일을 대체합니다.

측면 및 축 방향 모두에서 뛰어난 색수차 제어.

단점

조리개 표시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습니다.

작은 구멍에서 1/3에서 1/2로, 1/2에서 1로 전환하는 다양한 스톱 증분.

짧은 초점 맞추기는 정밀한 집중력을 필요로 합니다.

빛을 향해 촬영할 때 가려지는 플레어가 발생하기 쉬우며, 이는 용도에 따라 독특한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태양별은 f/8 이하의 작은 구멍에서만 잘 정의됩니다.

모서리는 넓은 구멍에서 그렇게 날카롭지 않습니다.

https://www.fredmiranda.com/forum/topic/1894722/


Fred Miranda published his review of the new Light Lens Lab 50mm f/1.5 Z21 lens for Leica M-mount (the lens can be purchased directly from the LLL website or eBay). Here is the final review conclusion:

  
After spending meaningful time with the Light Lens Lab 50mm f/1.5 Z21, I’ve developed a deep appreciation for what this lens sets out to achieve, and in many ways, accomplishes. Inspired by the rare Angenieux S21 from the 1950s, the Z21 brings that vintage rendering into the modern era while preserving the character that made the original so iconic. This isn’t a lens chasing technical perfection. Instead, it delivers a unique, painterly look that feels grounded in photographic history while refining critical aspects like center resolution, mechanics improvements, and rangefinder compatibility. In terms of overall rendering, the Z21 feels like a faithful evolution rather than a direct copy.

Optically, its strengths are concentrated in the center of the frame. Resolution, contrast, and color are most impressive when shot wide open with subjects placed near the middle. The outer zones, particularly the mid-field, show a noticeable drop in sharpness and contrast. Interestingly, this can work in your favor when the composition emphasizes a central subject. The falloff, combined with optical vignetting and a swirling bokeh signature, contributes to the lens’s strong subject isolation and unmistakable vintage look. These traits won’t appeal to everyone, but they’re a big part of what gives the Z21 its nostalgic charm. Like most character-driven lenses, it rewards thoughtful framing and a willingness to lean into its imperfections.

The build quality is excellent. I do appreciate the weight savings, but I have to admit I miss the brass barrels used in some of the other Light Lens Lab lenses. Still, the lens feels like a precision-crafted tool. It features modern upgrades such as a native Leica M mount, a closer 0.7-meter minimum focusing distance, and a beautiful high-gloss black finish. Mechanically, it balances the feel of a modern lens with an old-world soul. Rangefinder coupling is reliable, and although my copy has a small amount of play in the focus ring, it’s still accurate and didn’t affect my shooting experience. On mirrorless bodies, I appreciated the extra precision and the ability to fine-tune focus, especially when dealing with field curvature or correcting for focus shift.

Stopping the lens down improves performance across the board. Between f/5.6 and f/8, sharpness and contrast become much more consistent throughout the frame. The 10-straight-bladed aperture produces defined, pleasing 10-ray sunstars. Flare is still present but takes on an expressive quality that adds mood rather than distraction. When compared to other vintage-inspired lenses like the LLL 50mm f/2 Speed Panchro II or the 50mm f/1.2 ASPH “1966”, the Z21 sits in the middle. It balances the 1966’s soft and dreamy rendering with the SP2’s more refined, structured and more predictable performance.

This lens isn’t meant for shooters looking for edge-to-edge sharpness or modern clinical rendering. It’s for those who welcome quirks like swirling bokeh, veiling flare, coma, and glow as part of their artistic process. It’s not a technical benchmark but a tool that encourages creative expression. In the right hands and with subjects placed closer to the center, it produces images with mood, depth, and a painterly elegance that’s hard to replicate in post-processing with modern optics.

After several weeks of shooting exclusively with the Z21, I found that placing subjects slightly off-center (where it’s not as corrected) often resulted in more natural-looking images with better balance across the frame. While I haven’t had the chance to shoot with the original Angenieux S21, I get the sense that the Z21 performs closer to its spirit when used this way.

Pros:

  • Beautifully faithful rendering inspired by the Angenieux S21
  • Excellent build quality with smooth mechanics and solid materials
  • Low distortion, minimal lateral CA, and well-controlled tonal vignetting
  • Center sharpness and contrast are strong even wide open
  • Swirly bokeh and flare give images a nostalgic, cinematic feel
  • Adaptable to mirrorless with good results and creative flexibility
  • Attractive 10-point sunstars at smaller apertures
  • Native Leica M mount with rangefinder coupling
  • It focuses as close as 0.7 meters, compared to 1 meter on the original

Cons:

  • Noticeable drop in resolution and contrast in the mid-field area
  • Field curvature and focus shift require thoughtful technique
  • Slight focus ring play (may vary by copy)
  • Not ideal for subjects spread evenly across the frame
  • Rendering quirks (swirl, glow, flare) may not suit all tastes or styles

 
Read the full review here.

Previous Fred Miranda reviews can be found here.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Light Lens Lab 50mm f/1.5 Z21 lens for Leica M-mount can be found here:

장점:

Angenieux S21에서 영감을 받은 아름답고 충실한 렌더링
부드러운 기계와 견고한 재료로 뛰어난 제작 품질 제공
낮은 왜곡, 최소한의 측면 CA, 그리고 잘 제어된 톤 비네팅
중앙의 선명도와 대비가 강하고 넓게 열려 있습니다
소용돌이치는 보케와 플레어는 이미지에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영화 같은 느낌을 줍니다
미러리스에 적응할 수 있으며, 좋은 결과와 창의적인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작은 구멍에서 매력적인 10점 별들
레인지파인더 커플링이 있는 네이티브 라이카 M 마운트
원래의 1미터에 비해 0.7미터 가까이 집중합니다

단점:

중간 영역에서 해상도와 대비가 눈에 띄게 떨어짐
필드 곡률과 초점 이동에는 신중한 기술이 필요합니다
약간의 초점 링 플레이(복사에 따라 다를 수 있음)
프레임 전체에 고르게 분포된 피험자에게는 이상적이지 않습니다
독특한 점(돌림, 빛, 플레어)을 렌더링하는 것이 모든 취향이나 스타일에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https://leicarumors.com/2025/09/17/light-lens-lab-50mm-f-1-5-z21-lens-for-leica-m-mount-review.aspx/


추천 라이카 렌즈는 이쪽! 중고 라이카 M마운트 교환 렌즈 인기 랭킹

「M형 라이카 데뷔를 하고 싶지만, 중요한 렌즈는 무엇을 선택하면 좋을지 모르겠다···.」
「미러리스 카메라를 가지고 있어, 라이카 M마운트의 교환 렌즈를 사용해 보고 싶지만, 어느 것이 추천할까?

여기에서는, 카메라 전문점 MapCamera의 판매 실적으로부터, 여러분에게 추천의 라이카 M마운트 교환 렌즈를 안내하겠습니다!
그럼 바로 살펴보겠습니다.

 원래 라이카 M마운트 교환 렌즈란?

Leica M 마운트는 독일 Leica 사가 제조하는 레인지 파인더 카메라 「라이카 M 시리즈」에 대응하는 교환 렌즈의 규격입니다.
그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고, 1954년에 등장한 「Leica M3」라는 카메라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Leica M3 등장 이래 이 마운트는 기본적인 구조를 바꾸지 않고 계승되어 낡은 렌즈에서도 최신의 디지털 M형 카메라로 사용할 수 있는 높은 호환성이 최대의 매력입니다.
또, 모든 공정이 완전하게 수작업이라고 하는 것은 아니지만, 렌즈의 연마나 조립, 조정이라고 하는
중요한 부분은 숙련된 장인이 담당하고 있어, 하나 하나가 마치 공예품과 같은 퀄리티를 가지고 있습니다.
포커스 링이나 조리개 등의 촉감도 매우 좋고, 아름다운 외관도 특징의 하나. 고성능 렌즈를 요구하는 사진 애호가에게 동경의 존재입니다.

최근에는 마운트 어댑터를 통해 소니나 니콘, 후지 필름 등 다양한 미러리스 일안 카메라에서도 사용되고 있어 오토 포커스야말로 탑재되어 있지 않지만,
조리개나 포커스에 이르기까지 모두 매뉴얼로 촬영하는 즐거움과 맛있는 묘사가 많은 사진가를 매료하고 있습니다.

 【50mm 인기 랭킹 TOP3】

 
50mm라고 하면, Leica를 선택하는 분 뿐만이 아니라, 사진을 받는 많은 분에게 있어서 가장 표준적인 초점 거리의 하나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 50mm는 Leica의 역사 속에서도 많은 라인업이 있어, 가장 괴로운 초점 거리라고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중고에서는 어떤 렌즈가 인기인지 봅시다.

 제3위 즈미크론 M50mm F2. 0 렌즈 후드 임베디드 (6bit) 블랙

50mm의 제3위는, 현행 라인 업으로부터 「즈미크론 M50mm F2. 0 렌즈 푸드 조립」이 랭크 인.
실은 1994년부터 판매되는 롱셀러 제품으로, 통칭 「즈미크론 50mm 4th」 「제4세대」라고도 불립니다.
즈미크론이라고 하면 Leica 제품 중 개방 조리개가 F2 클래스 렌즈에 주어지는 명칭으로, F1.4의 즈밀룩스와 비교했을 때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이 매력입니다.
하지만 묘사는 유석의 Leica 렌즈. 적당한 주변 감광과 좋은 샤프니스, 콘트라스트에 의해, 개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사용해 갈 수 있는 실용적인 렌즈 제품입니다.
판매 스탭 시선으로 봐도, 가장 먼저 추천하는 렌즈의 필두의 한 개라고 말할 수 있겠지요.

 2위 아포즈 미크론 M50mm F2.0 ASPH. 블랙

50mm의 2위는 즈미크론 4세대에 이어 2013년 발매의 현행 제품인 아포즈 미크론 M50mm F2.0 ASPH. 블랙이 랭크 인.
아포크로마트 렌즈를 채용하고 있어 효과적으로 색수차를 억제한 본 제품은, 「라이카의 렌즈=입체감 우선으로 샤프니스는 알맞다」라고 하는 고정 관념에 일석을 투사했습니다.
실제의 묘사로서도, 개방으로부터 고샤프·고콘트라스트인 묘사를 하면서도, 라이카다운 입체감도 건재. 현대 디지털 라이카에 매치하는 궁극의 50mm의 선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1위 즈밀룩스 M50mm F1.4 ASPH. (6bit) 블랙

50mm 렌즈의 제1위는, 2006년 발매의 즈밀룩스 50mm F1.4 ASPH.가 되었습니다.
2023년에 한층 더 최단 촬영 거리가 가까워진 현행 세대의 모델이 등장해, 본 모델은 생산 완료가 되었습니다만, 중고 시장에서는 아직도 높은 인기를 자랑하고 있는 것을 엿볼 수 있습니다.
현행 세대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편리성의 향상 외에, 조리개 날개 매수도 증가. 그러나, 보다 날씬한 이쪽의 모델의 경통이 좋아하는 목소리도.
가격면에서는, 중고로 비교했을 경우는 현행 세대에 대해 이쪽의 모델은 약 반액 가까이에서 손에 들어가게 되어, 「M형 디지털로 사야 할 최초의 50 mm즈밀룩스」의 하나, 라고 하는 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
묘사에 대해서는, 즈밀룩스의 이름대로, 피사계 심도를 살리는 촬영에는 안성맞춤의 렌즈로, 아름다운 노망을 살린 다채로운 표현을 즐길 수 있습니다.

 【35mm 인기 랭킹 TOP3】

 
35mm는 50mm와 마찬가지로 Leica에서 가장 제품 라인업이 풍부한 초점 거리입니다.
역대에서는 이름 넘치는 명 렌즈들이 그 이름을 올리고 있습니다만, 그 중에서도 특히 히트 상품의 중고 렌즈를 소개하겠습니다.

 제3위 즈밀룩스 M35mm F1.4 11301

35mm 랭킹의 3위는 2022년 발매의 「복각 스틸 림」이 랭크 인했습니다.
1961년에 등장한 초기형 즈밀룩스 M35mm F1.4 통칭 스틸 림을 현대풍으로 모디파이한 본 렌즈는, 광학 설계도 오리지날을 답습해, 클래식인 묘사를 즐길 수 있습니다.
사이즈도 컴팩트하고 경량, 렌즈로서의 외형의 가마도 좋고, 디지털 필름을 불문하고 취급하기 쉬운 것이 인기의 비결입니다.
오리지널을 답습한 2종류의 렌즈 후드도 동봉되고 있어, 묘사 뿐만이 아니라 드레스업에도 뛰어납니다.

 2위 즈밀룩스 M35mm F1.4 ASPH. 블랙 11726

 
35mm의 2위는 현행의 즈밀룩스 M35mm F1.4 ASPH. 블랙 11726이 랭크 인했습니다.
최단 촬영 거리가 40cm가 된 것으로, 개인의 사용, 특히 테이블 포토 등에서도 위력을 발휘합니다.
다만, 70cm 미만에서는 거리계 연동은 하지 않으므로, 배면 액정 화면이나 비조플렉스 EVF를 이용해 포커싱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기술을 가져온 더블 캠 유니트의 탑재나, 액정 화면에서의 확인을 전제로 해, 거리계 연동을 나누어 편리성의 향상을 목표로 한 사상으로부터, 디지털 네이티브인 즈밀룩스 35 mm라고 말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묘사 성능도 꽤 현대적이고, 전술한 바와 같이 최단으로부터 무한원까지, 폭넓게 사용할 수 있는 우등생 렌즈입니다.

 1위 아포즈 미크론 M35mm F2.0 ASPH. 블랙

 
35mm의 제1위는, 무려 신품이 인기·품박의 아포즈 미크론 M35mm F2. 0 ASPH. 블랙이 되었습니다.
신품이라면 아직 전해까지 매우 긴 시간을 필요로 하는 이쪽의 렌즈입니다만, 중고에서도 인기의 렌즈로, 전술한 아포즈 미크론 50 mm와 가지런히 하면 무적의 구성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쪽도 아포크로마트의 렌즈 구성이 채용되고 있으며, 최단 촬영 거리도 30cm로 바로 올 라운더.
궁극의 35mm를 찾아, 라고 하는 것이라면, 가장 먼저 후보에 거는 렌즈의 하나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광각 렌즈 인기 랭킹 TOP3】

계속해서는, 35 mm보다 한층 더 넓은 광각 렌즈의 랭킹을 소개하겠습니다.
배면 액정의 시인성 향상이나, 비조플렉스 EVF의 사용에 의해, 필름 시대나 디지털 초기와 비교해 상당히 사용하기 쉬워진 초광각 렌즈들.
어떤 렌즈가 랭크 인하고 있는지 즉시 살펴 보겠습니다.

 제3위 엘마리트 M28mm F2.8 3rd(E49)

 
여기에 와서 1979년 발매의 엘마리트 M28mm F2.8 3rd가 제3위에 랭크 인했습니다.
말 그대로 엘마리트 M28mm의 제3세대가 되어, 상태가 좋은 것도 20만엔을 자르는 것이 많은 리즈너블한 가격이 매력의 렌즈입니다.
세대적으로는 렌즈 설계에 컴퓨터를 도입하기 시작한 시대의 렌즈가 되어, 견실한 묘사 성능도 매력의 하나입니다.
우선 저렴한 광각 렌즈를 사용하고 싶다면 추천하는 렌즈입니다.

 제2위 즈마론 M28mm F5.6

 
제2위는 복각 렌즈 시리즈로부터, 즈마론 M28mm F5.6이 랭크 인했습니다.
이쪽의 오리지날은 1955년부터 판매되고 있던, 스크류 마운트의 렌즈로, 본 복각판은 디자인 등을 가능한 한 답습하면서, 현대적으로 재구축되고 있습니다.
F5.6이라는 어두운 개방 F값입니다만, 현대의 디지털 라이커는 고감도로의 편리성은 상당히 높기 때문에, 어떤 의미에서는 그 단점을 극복해, 별로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히려 깊은 피사계 심도, 개방으로부터 샤프하고 세세한 묘사, 컴팩트하고 경량인 바디가 섞여, 스냅 샷을 좋아하는 분에게의 필두 추천 렌즈입니다.
덧붙여서 렌즈 필터를 붙이면 부속의 렌즈 후드의 설치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MapCamera로부터 발매중의 즈마론용 오리지날 필터의 사용을 추천합니다.

 제1위 엘마리트 M28mm F2.8 ASPH. 블랙

 
1위는 현행 5세대 엘마리트 M28mm F2.8 ASPH.가 되었습니다.
아스페리컬 렌즈(비구면 렌즈)의 채용에 의해, 효과적으로 왜곡 등의 수차를 보정해, 개방으로부터 아낌없이 사용해 갈 수 있는 코스트 퍼포먼스가 높은 1개입니다.
엘마리트 시리즈 전반에 어느 정도 말할 수 있는 것이지만, 비교적 소형 경량인 렌즈가 많아, 선택하기 쉬운 것이 좋습니다.
개방 F2.8은 노망 등을 살린 촬영이 실시하기 어려운 한편, 초점을 제대로 두고 촬영하고 싶은 분에게는 매우 실용적인 선택사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망원 렌즈 인기 랭킹 TOP3】

 
마지막은, 초점 거리가 50mm보다 큰 망원 렌즈의 라인 업으로부터 인기 렌즈를 소개.
레인지 파인더 카메라에서는 망원역의 프레이밍이 작아져, 종래는 그다지 인기가 없었습니다만, M형 라이카의 디지털화나 미러리스 카메라의 등장으로, 사용 난도는 필름 시대만큼이 아닙니다.
합리적인 가격대부터 고성능, 고급 제품까지, 어떤 제품이 랭크 인하고 있는지 살펴 보겠습니다.

 제3위 엘마리트 M90mm F2.8 E39 실버

 
망원 렌즈의 제3위는, 1959년에 등장한 엘마리트 90mm F2.8 E39가 랭크 인했습니다.
구경이 큰 망원 렌즈는 경통의 사이즈도 커지는 경향이 있어, 특히 비교적 소형의 레인지 파인더 카메라나 미러리스로 사용할 때에 약간 불편합니다만, 이 엘마리트
90mm F2. 라는 분에게도 추천입니다.
다만, 연대가 낡고 상태가 좋은 렌즈가 상당히 희소하기 때문에, 만약 볼 수 있으면 럭키일지도 모릅니다.

 제2위 즈미크론 M90mm F2 E55 푸드 임베디드 블랙 크롬

 
1980년에 등장한 즈미크론 M90mm F2 E55 푸드 임베디드 블랙 크롬이 제2위에 랭크 인했습니다.
즈미크론의 이름대로 F2를 실현하면서도, 핸들링에 괴롭지 않은 사이즈감과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인 것이 인기의 포인트입니다.

 1위 아포즈 미크론 M75mm F2.0 ASPH. (6bit)

 
망원 렌즈 랭킹은, 아포즈 미크론 M75mm F2.0 ASPH. (6bit)가 당당한 제1위에서의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이것에 의해, 35mm, 50mm, 75mm의 3개의 아포즈 미크론이 랭킹내에 등장해, 시리즈의 인기의 높이를 엿볼 수 있습니다.
역시, 현대의 고화소 디지털 카메라로 제대로 된 해상감을 가지고 촬영을 하고 싶은 경우, 최상의 선택지가 되는 것이 이유의 비결일까요.
망원 렌즈의 랭킹은 특히, 디자인이 낡고 묘사가 부드러운 것으로부터 확실한 찍음을 하는 것까지, 삼자삼양인 라인업이 되었습니다.

 결론

 
길어졌지만 여기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의 Leica 렌즈의 초점 거리별 순위, 어떻습니까?
「역시 저것이 들어 있었는지」라는 의견도 있으면, 「그 렌즈가 랭킹에 들어가지 않는다니!」라고 하는 의견도 있을지도 모릅니다.
희망이 기사가, 라이카 M마운트 렌즈 선택의 참고의 도움이 되면 다행입니다만, M렌즈의 가능성은 무한대. 도저히 여기에 맞는 것은 아닙니다.
다양하고 풍부한 라이카 렌즈의 재고를 가진 MapCamera에서 꼭 좋아하는 하나를 찾아보세요. 그럼 또.

https://news.mapcamera.com/maptimes/used_leica_ranking_2025_firsthalf/

라이카 M6

「사용할 수 있는 레인지 파인더기」 「라이카 M6」가 1984년에 등장했을 때 필자(오우라 타케시)는 그렇게 생각하는 곳이 있었다. 당시 사용하고 있던 「라이카 M4-P」의 측광은, 순정의 외장 노출계 「MR미터」에 의지하고 있었지만, 카메라에 결과를 반영할 때까지의 작법이 건방진으로도 귀찮게 생각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250827_Leica_M6_01
배터리실 커버를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M4-P에 준한 스타일의 M6.1984년부터 1999년까지의 장기에 걸쳐 제조되었다. 파인더 배율은 0.72배. 초점 거리 28mm의 화각에 대응

M4-P의 액세서리 슈에 장착한 MR 미터는 일단 셔터 다이얼과 연동하지만, 노출을 결정하려고 할 때마다 파인더에서 눈을 떼고, 미터의 바늘이 가리키는 조리개 값을 보고, 그것을 렌즈의 조리개에 맞춰야 했다. 당시의 미터드 매뉴얼의 일안레플렉스와 같이, 파인더를 들여다 본 상태로 노출을 설정하는 것은 당연히 할 수 없었고, 측광 범위도 모호하고 불편할 만한 것이었다.

노출은 감으로 결정하라는 정신론을 수반하는 낡은 생각도 있지만, 솔직히 그런 기술은 미숙한 나에게는 토대 무리한 이야기. 노출계에 의존하는 이유는 적지 않고, 우선 노출이 갖추어진 네거티브, 특히 흑백 필름의 네거티브는 프린트시 굽기 쉬운 데다 계조도 가지런히 쉽다.

또한, 인화지에의 노광 시간이나, 다계조 인화지에서는 필터의 설정 등 비교적 맞추기 쉬워지는 경우도 있다. 한층 더 필름의 특성을 가장 꺼내기 쉬운 노출로 촬영을 할 수 있는 것도 이유의 하나. 물론 역광 촬영시나 노출을 몰아내고 싶을 때 등 노출 보정을 하는 기준이 되는 것이다.

M4-P는 셀프 타이머를 내장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 부분에 노출계용의 배터리는 넣을 것 같아, 「미놀타 CLE」와 같이 셔터막에 해당하는 빛의 반사를 측광하면, 「라이카 M5」나 「라이카 CL/라이츠 미놀타 CL」과 같은 복잡한 기구를 가지는 것 같다.

250827_Leica_M6_02
이른바 미터드 매뉴얼 기계인 M6. 파인더 내의 노출계 표시는 간단하고, 좌우로 줄지어 있는 삼각형에 의해 적정, 언더, 오버를 표시할 수 있다. 몸 높이가 2.5mm 높아져 버린 후계 모델 M6 TTL보다 스타일의 밸런스가 좋을 것 같다
250827_Leica_M6_03
노출계용 배터리 박스. 사용하는 배터리는 SR44를 2개 사용. 배터리 실 커버는 강하게 나사를 넣으면 배터리 교체시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발표된 M6은 바로 그런 생각이 이루어진 카메라였다. 게다가 기쁘게도 지금까지의 M형 라이카와 변함없는 바디 사이즈와 스타일을 답습해, 추가된 조작 부재도 카메라 배면의 필름 감도 다이얼만으로 하고 있던 것도 매력 있는 부분으로 생각된 것이었다.

250827_Leica_M6_04
카메라 뒷면의 필름 감도 다이얼. 설정할 수 있는 감도는 ISO6에서 ISO6400으로 넓고, 설정한 감도도 알기 쉽다. 다이얼의 움직임은 적당히 단단하며, 모르게 마음대로 움직이지 않습니다.
250827_Leica_M6_05
뒷뚜껑은 몸의 중앙부밖에 열지 않고, 필름도 바닥 뚜껑 쪽에서 몸에 넣어야 하기 때문에, 필름 장전은 국산 일안레플렉스에 비해 약간 요령을 필요로 한다. 뒤덮개와 몸에 있는 접점은 필름 감도 다이얼의 것

다만, 발매된 M6은 곧바로 손에 넣는 일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지난달 소개한 「캐논 New F-1」관련이나, 그 뒤에 등장한 「캐논 EOS-1」에의 지출, 혹은 자동차나 오토바이의 론으로, 취미성이 강한(일로 사용하는 것이 거의 없는) 레인지 파인더기는 상당히 후회해 버린 것이다. 그리고 드디어 구입과 이른 것이 1990년대의 첫 무렵이었다.

당시 라이카의 일본 대리점인 시벨 헤그너(현 DKSH)를 통해 판매되는 소위 정규품은 말할 것도 없이 고가였다. 그 때문에 조금이라도 예산을 억제하고 싶은 사진 애호가는 병행 수입의 라이카를 구입하는 것이 많아, 그 대표적인 카메라 숍의 하나가 긴자의 레몬사이며, 자신도 거기서 구입했다. 덧붙여서 전술한 필자의 M4-P는, 레몬사의 전신인 히로 상회에서 구입한 역시 병행 수입품이었다.

그 후 경위는 불분명하면서 1990년 중반에 레몬사가 갑자기 정규 취급점이 되었다. 게다가 판매가격은 그동안 바뀌지 않고, “정규품”이 가격경감 있는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게 된다. 나도 이 기회를 놓칠 수 없다고 2대째가 되는 M6를 구입했다. 그 때의 M6에 동고되고 있던 취급 설명서는 일본어의 것으로, 정규품인 것을 강하게 인식시키는 것이었다.

250827_Leica_M6_06
셔터 막 중앙에 있는 흰색 원으로 렌즈에서 들어간 빛을 반사시켜 거리계 코로의 좌측에 있는 수광부(사진에서는 보이지 않음)에서 측광을 실시한다. 팔목식의 수광부에 비해, 심플한 구조로 트러블이 적은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M6에서는 상상 이상으로 쾌적한 촬영을 즐겼다. 미터드 매뉴얼은 말할 필요도 없이 유저에게 있어서 친절하고, 정밀도가 높은 노출을 재빠르게, 게다가 피사체와 대치하면서 구할 수 있었고, 그 때문에 가져올 기회도 많았다. 당시 좀더 빨리 이 카메라를 손에 넣어두면 했던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M6은 라이카가 아니다」라고 어딘가의 사진가가 당시 말한 것 같지만, 개인적으로는 그러한 발언은 아무래도 잘 보였다.

250827_Leica_M6_07
그때까지의 M형 라이카와 같이 깔끔한 셔터 버튼 주변. 필름 감기 레버의 예비각은 크고, 촬영 시에는 오른손 엄지로 카메라를 보조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다. 필름 카운터의 창에는 볼록 렌즈가 사용되고 있어 시인성은 매우 좋다

그 후, TTL 플래시 발광에 대응하는 「라이카 M6 TTL」이나, 조리개 우선 AE 촬영이 가능한 「라이카 M7」도 등장했지만, 종래와 변함없는 바디 사이즈로 하는 M6는 자신에게 있어서 그 매력은 퇴색하지 않고 오랫동안 애용했다. 현재 M6는 메이커로부터 복각판이 판매되고 있지만, 그 가격에 놀랄 뿐.

250827_Leica_M6_08
빨간 로고 배지가 싫어, 구입과 동시에 관동 카메라 서비스로 검은 무인 배치로 바꿨다. 동시에 엔그레이브되어 흰 도료의 흘려 들어가고 있던 메이커명과 기종명도 검은색 도료를 흘려 넣어 눈에 띄지 않게 받고 있다. 일시기 3대 M6을 소유하고 있었지만, 모두 같은 사양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복각판이 나온 덕분에 오리지널 M6의 수리는 앞으로도 안태우라고 한다. 노출계가 없는 M형 라이카도 매력적이지만, “사용할 수 있는 M형 라이카”로서 M6의 존재는 크게 느끼고 있다.

오우라 타케시 | 프로필
미야자키현 도죠시 출생. 일본 대학 예술 학부 사진 학과 졸업 후, 잡지 카메라맨, 디자인 기획 회사를 거쳐 포토그래퍼로서 독립. 이후 카메라 잡지를 비롯한 종이 매체나 웹 매체, 상업 인쇄물, 세미나 등 다방면에서 활동을 한다.
공익사단법인 일본사진가협회(JPS) 회원.

https://jp.pronews.com/column/202509061311642635.html


Leica Looks를 구사해 야마노테선 연선을 걷다(Q3편)

Leica Q3(Leica Eternal,28mm,f7.1,1/50초,ISO100)

「잔서」라는 말로는 표현할 수 없는 연일의 더위입니다.
휴가의 날은 아무래도 쿨러가 효과가 있는 방에 닫혀 버리는 경향이…
단지 그러면 몸이 빠져 버리고, 무엇보다 촬영욕이 채워지지 않습니다.
더위 대책, 수분 보급을 만전으로 해, 막상 촬영에!

동반의 카메라는, 가능한 한 소형 경량에. 그러면서 촬영에는 타협하고 싶지 않다.
그런 호화스러운 소원을 이끌어주는 것이 Leica Q3입니다.

베스트셀러기 Q2의 성능을 대폭으로 그레이드 업.
트리플 레졸루션 기술을 도입한 6000만 화소 이면 조사형 CMOS 센서를 탑재.
위상차 검출 방식을 추가한 하이브리드 오토 포커스 시스템을 새롭게 채용하고 있습니다.
또, 틸트식의 배면 액정 모니터의 채용이나 USB Type-C단자에서의 충전이 가능하게 되는 등, 쓰기도 향상. 매우 취급이 좋은 카메라로 완성되고 있습니다.

한층 더 촬영시의 즐거운 기능으로서, 사진을 인상적인 마무리에 연출할 수 있는 「Leica Looks」를 「Leica FOTOS」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카메라 본체에 프리 인스톨 되고 있는 스탠다드·비비드·흑백등의 “Core Looks”외에, 컨템포러리·이터널 등 라이카가 독자시 개발한 “Essential Looks”, 저명한 사진가의 세계관을 재현할 수 있는 “Artist Looks”를 인스톨 할 수 있습니다.
“Essential Looks”·“Artist Looks”는, 현재(2025년 8월 27일)의 시점에서 10종류.
그 중 카메라에 한 번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은 최대 6 종류까지이므로, 어느 Look을 사용할지 매번 촬영에 나가기 전에 이것 선택해야 합니다. 이것이 꽤 괴로운 곳 …

MapCamera의 StockShot에서는 이전에 이 “Leica Looks”를 특집한 적이 있습니다.

・・・・・

이번에는 JR 야마노 테선의 다카나와 게이트웨이 역에서 하마 마츠 쵸 역 주변을 산책.
2020년 3월에 개업한 다카나와 게이트웨이역. 대략 반세기 만의 신역으로, 개업 당시 아내와 구경에 갔습니다만, 그 후는 차창으로부터 주변을 바라보는 것만이었습니다.
그로부터 5년 넘게, 어떤 식으로 발전했는지 흥미가 있었습니다만…

실제로, 역 개찰구 주변은 꽤 변화하고 있었습니다.
개업 당시는 고가상의 개찰구를 나오자마자 지상에 내려가는 계단이 있었다고 생각합니다만, 개찰전은 광장과 같은 공간에.
물 놀 수 있는 분수가 있어, 이 무더위 속에 아이들이 놀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대로 큰 상업 시설과 직결. 아직 본격적인 오픈 전이었지만, 열려있는 카페에는 많은 손님이.
5년전과는 상당히 차이다… 아직 개발 도중 같은 느낌이었습니다.

Leica Q3(Leica Classic,35mm,f2.8,1/1600초,ISO100)

크레인차나 굴삭기 자동차가 가까이에 놓여 있는 모습은, 보통의 공사 현장에서는 볼 수 없는 것.
하이 콘트라스트인 「Leica Classic–CLS」로 배경의 잡다한 분위기를 조금 날려 보았습니다. 크레인차의 노란색도 외형보다 꽤 억제한 인상에.

Leica Q3(Leica Standard,28mm,f1.7,1/6400초,ISO100)

Leica Q3(Leica Classic,28mm,f1.7,1/1600초,ISO100)

이렇게 나란히 보면 그 차이는 일목요연. “Leica Classic-CLS”는 클래식의 이름대로 오래된 영화의 한 프레임처럼. 배경은 현대적이지만.

Leica Q3(Leica Monochrom High Contrast,35mm,f2.0,1/1000초,ISO100)

흙먼지의 더러움이 눈에 띄는 캐터필라 부분도 모노크롬이라면 중후감 있는 분위기에.

Leica Q3(Leica Monochrom High Contrast,35mm,f2.5,1/2000초,ISO100)

역 옆에도 큰 건축물이 건설 중. 주위에 설치된 울타리 사이를 작업원 쪽으로 교차하면서 진행해 갑니다.

Leica Q3(Leica Monochrom High Contrast,35mm,f4,1/25초,ISO800)

선로 아래를 지나갈 때는, 등을 굴복하지 않으면 안 되었습니다. 정말 미로를 탐험하는 기분.

Leica Q3(Leica Classic,28mm,f2.8,1/640초,ISO100)

선로를 떠나 옆길에 들어가면 아파트 사이를 흐르는 운하로 나왔습니다. 양쪽 옆에 산책로가 이어져 있었습니다만, 평일의 낮에 걷는 사람은 없고, 야마노테선 연선이라고는 생각되지 않는 한산으로 한 광경이 퍼지고 있었습니다.
「Leica Classic–CLS」의 묘사는, 마치 현실감을 수반하지 않는 스크린에 비추어진 것 같은 그림에.

Leica Q3(Leica Teal,28mm,f5.6,1/400초,ISO100)

이번에는 “Leica Teal-TEL”에서. 이쪽도 영화 같은 분위기입니다만, 「Leica Classic–CLS」보다 블루가 나와 있으므로, 자연스러운 톤에.
두 Look 모두 이런 사람의 기색을 느끼게 하지 않는 도시 풍경에 맞을 것 같습니다.

Leica Q3(Leica Brass,35mm,f4,1/160초,ISO100)

야가타선의 색감을 내고 싶어서 「Leica Brass-BRS」로. 따뜻한 색채로 마치 네거티브 필름으로 찍은 쇼와의 풍경 같은 느낌.

Leica Q3(Leica Monochrom High Contrast,28mm,f1.7,1/2500초,ISO100)

하마마츠초에 다가가는 도중, 아무래도 보고 싶은 곳이.
좁은 강에 몇 가지 옥형선이 떠 있는 광경은 야마노테선의 차창에서 언제나 보고 신경이 쓰였지만, 실제로 다니는 것은 처음.
단지 불행히도 근처까지는 하지 않았습니다.

Leica Q3(Leica Monochrom High Contrast,50mm,f4,1/125초,ISO100)

50mm의 화각에 자르고 촬영. 하이 콘트라스트라고 합니다만, 중간색도 잘 나와 있어 그라데이션 풍부하고, 또한 치밀하게 표현되고 있습니다.

Leica Q3(Leica Eternal,75mm,f4,1/160초,ISO125)

이번에는 75mm에, 그리고 「Leica Eternal-ETN」을 사용해 보았습니다.
채도도 올라 단번에 선명한 분위기에. 강면에 비치는 제등의 불빛은, 이 Look로 하는 것으로 인상적으로 되었습니다.

낮부터 찍기 시작, 눈치 채면 저녁 시간에.
강한 햇살은 사라졌지만, 그래도 기온은 높게 남아 있습니다. 땀 흠뻑 빠지면서도 기분은 채워졌습니다.
Leica Looks를 저것 이것 선택하면서의 촬영은, 더위를 조금 잊게 해 주는 것이었습니다.

https://news.mapcamera.com/maptimes/%E3%80%90leica%E3%80%91leica-looks%E3%82%92%E9%A7%86%E4%BD%BF%E3%81%97%E3%81%A6%E5%B1%B1%E6%89%8B%E7%B7%9A%E3%82%92%E6%AD%A9%E3%81%8F%EF%BC%88q3%E7%B7%A8%EF%BC%89/